1271065248140.jpg
유방암 걸릴 위험 58% 감소
아시아계 미국인이 다른 인종에 비해 유방암에 덜 걸리는 이유는 어릴 적부터 콩을 많이 먹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립암센터 연구팀은 콩을 많이 먹은 아시아계 여성의 유방암 위험이 58%나 낮게 나타났다고 암 역학 저널을 통해 밝혔다. 유방암은 오래전부터 미국 등 서구 여성이 중국이나 일본 등 아시아 여성에 비해 4~7배 높게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아시아 여성의 미국 이주가 활발해진 현재는 그 격차가 많이 줄어 코드 박사 등 전문가들은 아시아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이 낮은 것은 유전적 요인이 아니라 식습관이나 생활습관 등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연구한 것. 연구팀은 샌프란시스코, 오클랜드, 로스앤젤레스, 하와이 등지에 거주하는 유방암 환자 약 6백 명이 포함된 1천6백여 명의 아시아계 여성을 대상으로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어린 시절 콩을 가장 많이 먹은 그룹의 아시아계 여성이 가장 적게 먹은 그룹의 여성에 비해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58%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청소년기나 성인기에 콩을 많이 먹은 사람은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20~25% 감소하는 데 그쳐 유방암을 예방하려면 어린 시절 콩 섭취량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코드 박사는 콩을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먹는 시기’라며 어린 시절부터 콩을 많이섭취하길 권했다.

자궁내막암은 70%, 난소암은 52% 감소
이대여성암전문병원 주웅 교수와 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 명승권 전문의, 이대목동병원 김승철 병원장 등이 그동안 국제 학술지에 개별적으로 발표한 일곱 편의 역학 논문을 ‘메타 분석’이라는 통계적 기법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콩이 부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콩을 많이 섭취한 군이 적게 섭취한 군에 비해 호르몬 관련 부인병 발생의 위험도가 61%(대응 위험도 0.61)로 낮았다. 암 종류별 발생 위험도는 자궁내막암은 약 70%(대응 위험도 0.70), 난소암은 약 절반 정도(대응 위험도 0.52)로 낮아져 암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 이대여성암전문병원 주웅 교수는 “콩류 음식의 용량에 따른 반응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콩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부인병 예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국인의 일일 평균 콩 섭취량 200~250mg
콩 속의 이소플라본 성분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도와 부인암을 예방하는 것.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불리는 만큼, 이소플라본 외에 토코페롤, 칼슘, 셀레늄 등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한 영양의 보고다. 한국인의 일일 평균 콩 섭취량인 200~250mg보다 2~3배 많은 양을 섭취해도 무관할 정도로 안전식품. 단, 콩이 원료이기는 하나 염분이 많이 들어간 된장류는 많이 섭취하지 않는다. 콩 원료 그대로 만든 두유나 콩을 농축시킨 두부 등의 섭취량을 높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