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우울증, 몸 곳곳에 통증…

기억력 떨어뜨려
17134F4E4FE8CDE431C679

65세 이상 25% 우울 증상… 허탈·무기력감이 원인, 젊은 우울증과는 증상 달라  약물 투여량은 절반부터… 부부가 함께 취미활동해야

퇴직 공무원 김모(65)씨. 직장에 다닐 때는 일에 매달려 가족과 관계가 소원했다. 퇴직 후 관계 회복을 시도했지만 대화가 단절된지 오래여서 쉽지 않았다. 일에만 매달려 살았기 때문에 속내를 터놓을 친구도 거의 없다. 김씨는 그러던 중 전립선비대증에 걸리는 등 건강이 나빠졌고, 그 여파로 우울증이 찾아왔다.

과거의 역할 상실로 우울증 발병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65세 이상 노인의 15~25%가 일상 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의 우울 증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의료계는 파악한다. 노인 우울증은 50대 이전의 우울증과 비교해 원인·증상이 다르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용욱 교수는 "노인 우울증은 은퇴 후 과거의 역할이 상실된 데 따르는 외로움, 허탈감, 무기력감이 주 원인"이라며 "목표를 이루지 못했거나, 업무에 몰두하다가 가족 관계 등 다른 중요한 것을 잃어버려서 생기는 40~50대 우울증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신체 변화와 질병도 노인의 우울 증상을 가속화한다. 한양대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용천 교수는 "나이가 들면 생활 여건이나 주변 환경이 젊을 때와 달라지는데, 이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이 우울증에 더 취약하다"고 말했다. 부부 관계도 문제다. 현재의 노년층은 보통 남편이 일을 하고 아내가 뒷바라지를 해 왔는데, 퇴직 후에는 이런 관계가 바뀐다. 하지만 남편이 바뀐 관계를 인정치 않고 자기 입장만 고수하면 부부 관계가 나빠져 우울증이 생긴다.

우울증 증상도 다르다. 젊은 사람은 우울·슬픔 등과 같은 심리적 감정을 호소하는 반면, 노인은 신체의 특정 부위가 아프거나, 잠을 못자거나, 집중력·기억력이 떨어지는 식으로 나타난다. 망상이나 초조함도 흔히 동반돼 치매와 헷갈리기도 한다.

2012082802823_0.jpg
노인 우울증은 은퇴 후 사회적인 역할이 사라지면서 생기는 경우가 많고,
몸 여기저기가 아프거나 기억력·집중력 저하를 호소하는 특징이 있다.

약물 치료는 신중하게

노인 우울증도 우선 항우울제로 치료한다.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동우 교수는 "노화로 약화된 소화·흡수·배출 기능을 감안해 약 용량은 50대 이하의 절반으로 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약 복용량을 증가시킬 때도 시간을 두고 천천히 한다"고 말했다.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4~5가지 이상의 약을 먹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은 약의 상호 작용 때문에 우울 증상이 심화될 수 있으므로 약을 처방받기 전에 주치의에게 알려야 한다. 신용욱 교수는 "신경안정제 등은 근육 풀림이나 어지럼증을 일으켜서 낙상을 가져올 위험이 있으므로 노년층에는 잘 처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약물 치료와 함께, 가족 면담 등과 같은 치료도 병행한다.

생활 속 노인 우울증 극복법

부부관계 회복=부부가 함께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함께 하면서 남편이나 아내에 대한 불만을 풀어야 한다. 이동우 교수는 "오랫동안 부부관계가 소원했다면 밀린 숙제하듯이 너무 성급하게 관계 회복에 나서지 말고, 천천히 서로를 이해하도록 시도하라"고 말했다.

변화 수용하기=나이가 들면 성격이 자기중심적이고 보수적으로 변한다.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채정호 교수는 "어떤 상황이든지 열린 마음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려고 노력해야 노년기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우울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봉사활동=노년층 우울증은 무기력이 큰 원인이다. 자신의 경험과 재능을 필요한 사람에게 나눠주면 자존감을 높이고 성취감도 느끼면서 우울 증상을 극복할 수 있다. 집 근처 시니어클럽 등에서 봉사 활동을 알선해준다.

동아리 활동=역사탐방, 전통춤 강습, 게이트볼, 컴퓨터, 서예 등 다양한 노인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면 우울 증상을 극복하는 데 도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