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픔을 알려주는 배꼽시계로 통하는 ‘꼬르륵’ 소리에 현혹되어 허겁지겁 먹을 것부터 찾지 말자.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배고픔의 정체. 그 속에 숨어있는 비밀을 한 번 캐봅니다.

 

1 배고픔...정체가 뭘까?
식사 시간을 놓쳤거나 한 끼를 굶었을 때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면서 음식을 먹고 싶다는 욕망을 주체하기 어렵다.
소위 말하는 ‘배고픔’ 이다. 배고픈 느낌이 들면 무조건, 즉시 무언가를 입속으로 밀어 넣고 본다.

그러나 “배고픈 감정은 반드시 우리 몸의 칼로리나 영양소 부족을 의미한 것은 아니다.”

 

 “먹을 것이 넘쳐나는 오늘날에는 오히려 배고픔을 적당히즐기면서  사는 것이 각종 만성병을 예방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2 배고픔을 즐겨라! 왜?
“오늘날 우리가 먹는 행위가 미처 예상치 못한 병폐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
하루 한 끼 굶는 것을 두려움으로 느낀다. 결론적으로 말해 우리는 본능적으로 배고픈느낌을 싫어한다.

 “현대인의 질병의 대부분은 진정한 배고픔을 모르는 데서부터 비롯된다.” 


 “배고픔을 느낄 시간을 주지 않으면 우리 몸속에 있는 지방이 일할 기회를 영영잃게 되기 때문이다”

일을 하지 않는 지방은 두려운 존재가 된다.


우리 몸의 구석구석에차곡차곡 쌓이면서 비만을 부르고, 당뇨, 고혈압을, 암을 부르고...,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진원지가 되기 때문이다.


 3 배고픈 시간은 내 몸속 지방이 타는 시간
“배고픔을 모르면 지방이 일을 안 한다!”

이것만은 꼭 기억하자.
우리 몸의 혈중 당분이 떨어졌다고 해서 칼로리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우리 몸은 음식에서 영양소를 섭취하여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쓰고 남은 당질은 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되고, 과잉의 당질과 단백질, 지질은 지방세포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영양소들은 가장 쉽게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혈중 당분이 떨어졌을 때 꺼내 쓰면 된다.

 이때 비교적 쉽게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는 것이 간이나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겐이고, 그 다음이 지방이다.

 

 “우리 몸은 혈당이 떨어져 배고픔을 느끼게 되면 일단 간이나 근육에 축적된 글리코겐이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쓰고 다음에 지방을 분해해서 쓰게 된다.”

 

 바로 이것이다. 지방이 일을 하게 하려면 배고픔을 느낀 시점에서 1~2시간 정도 여유를 둬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야 비로소 지방이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게 된다.

 

 지방이 제 일을 하지 않고 날마다  놀고 먹는다면, 새롭게 저장되는 지방 덩어리와 친구하면서 내 팔뚝, 허벅지에 불룩불룩 살을 찌우는 미운 짓을 하게 된다. 그게 전부라면 오히려 다행이다.

 

지방조직의 속이 꽉 차서 더 이상 지방을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면 지방은 혈류 속에 잔류하면서 고지혈증을 만들고, 혈관에 피떡도 형성한다.

 

 혈관의 탄력성도 떨어뜨리게 되면서 고혈압, 동맥 경화, 당뇨 등 각종 만성병을 유발하는 수순을 밟게 된다.

 따라서 배고픈 느낌이 들자마자 음식부터 찾아선 안 된다. 1시간 정도의 배고픔은 반드시 즐겨야 한다. 그렇게 해서 내 몸속 지방이 일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배고픈 시간은 내 몸의 지방을 태우는 중한 시간임을 반드시 기억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