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401446_0.jpg
 
 

현대인은 스트레스가 많고 오염된 물과 공기를 마시며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해 뇌에 탁한 혈액이 많다. 이 때문에 요즘에는 두통을 달고 사는 사람들이 많다. 지긋지긋한 두통과 이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두통을 무조건 참는 것은 몸에 나쁘다. 두통을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있다. 운동으로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뇌 혈액의 순환을 좋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산소 운동은 두통의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둘째, 식사를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두통은 수축한 혈관이 늘어날 때 생기는데 장시간 공복 상태를 유지하면 혈당이 떨어져 뇌혈관이 수축해 두통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제때 규칙적으로 식사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과식과 금식은 두통을 악화시키므로 피한다.

 

셋째, 1시간에 한 번씩 스트레칭을 한다. 한 자세로 오래 앉아있거나 불균형한 자세로 장시간 있는 것도 두통의 원인이 되므로 가끔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준다.

 

넷째, 두통을 유발하는 식품을 피한다. 자장면, 치즈, 와인, 초콜릿, 커피, 녹차 등은 두통을 악화시킨다.

 

다섯째,  무조건 진통제로 때우지 않는다. 두통은 원인에 따라 처방과 치료가 달라야 한다. 임의로 진통제를 반복적으로 복용하면 진통제에 의한 두통인 ‘약물과용 두통’이 발생하기 쉽다. 이런 경우에는 진통제 복용을 중단하면 오히려 두통이 호전된다. 마비 경련 의식장애 등 신경학적 이상을 동반하는 이차성 두통은 원인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진통제만 복용하다가 뇌종양, 뇌출혈, 뇌기생충 등 심각한 병의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두통이라고 다 똑같은 두통이 아니다. 두통의 원인은 300가지 이상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별한 원인 없이 일반인이 흔히 경험하는 두통을 일차성 두통이라고 한다. 하지만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하는 두통증상도 있다.

 

※ 이럴 땐 꼭 병원으로!

 

1. 새로운 형태의 두통이 갑자기 시작될 때
2. 두통이 수일이나 수주에 걸쳐 점차 심해질 때
3. 과로, 긴장, 기침, 용변 후 또는 성행위 후 나타나는 두통
4. 50세 이후 처음 두통이 시작할 때
5. 두통과 함께 졸음, 기억력 감소, 발열, 구토, 둘로 보임, 균형감 상실 등이 동반될 때

도움말 = 박광열 중앙대병원 신경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