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晶月) 나혜석(1896~1948)은 수원의 명문가 딸로 태어나 진명여학교를 최우등으로 졸업했으며 또한 우리나라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일본 도쿄의 여자미술학교에서 유화를 공부한 화가이다.

1896년 경기도 수원에서 「큰대문 참판댁」의 4남매 중 셋째로 부유한 개명관료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신학문을 공부한 두 오빠 나홍석, 나경석과 아버지 나기정의 권유로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일본 도쿄의 여자미술학교에 유학했다. 결혼을 강요하는 아버지의 뜻에 반하여 학업을 중단하여 1년 간 스스로 돈을 벌어 학교를 마친 그녀는 서울로 돌아와 처음으로 개인전시회를 열어 사람들에게 유화가 무엇인지를 알리는 데 힘썼고 초창기 「이른 아침」(早朝)과 같은 목판화로 민중의 삶을 표현하기도 했으며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여러차례 특선과 입선을 하기도한 재능있는 화가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서양화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일본유학생, 우리나라 최초의 이혼녀, 우리나라 최초의 유럽 여행한 여성. 그녀를 수식하는 말들이다. 이처럼 정월 나혜석은 우리나라 근대화 시기의 대표적인 신여성이라고 해도 잘못된 표현이 아니다. 무엇이든지 몸소 실천해 보여주었고, 문학작품이나 예술작품으로서 나타내어 사람들의 자각을 촉구했다.

김일엽 등 다른 신여성들처럼 여성들의 교육을 강조했으며, 초기에는 자유주의적 성격을 지닌 페미니즘을 내세우다가 점차 남녀성평등을 통한 자유연애, 개방 결혼과 독신주의 등을 주장하며 급진적인 성격으로 변해갔다. 그렇지만 여러 가지 작품 활동을 통해서 많은 여성들의 자각을 일깨웠으며 여성 운동과 그에 따른 편견을 바꾸는데 많은 공헌을 했다.

그러나 이혼을 한후 그는 화실에서 일어난 화재로 그림을 모두 잃게 되고 또한 아이들을 보지 못하게 된 충격으로 신경쇠약과 반신불수의 몸이 된 나혜석은 자기만의 방을 갖지 못한 채 수덕사 등 여러 사찰을 떠돌아 다녔고, 해방 후에는 서울의 청운양로원에 맡겨졌으나 그는 걸핏하면 몰래 빠져 나왔다.

여행을 떠나기 위해 짐을 쌀 때면 늘 기운이 솟아 오른다고 했던 나혜석은 어느 날 양로원을 나선 뒤 종적이 묘연해졌다. 그리고 1948년 12월 10일 서울의 시립 자제원 무연고자 병동에서 아무도 모르게 눈을 감았고 그의 무덤은 어디 에도 남아 있지 않다.

a1.jpg
자화상-나혜석

a2.jpg
나부-나혜석

a3.jpg
1922년 농촌풍경

a4.jpg
1924년 만주 봉천풍경

a5.jpg
1927년 파리풍경

a6.jpg
1928년 블란서 마을풍경

a7.jpg
1928년 스페인 국경

a8.jpg
1933년 인천풍경

a9.jpg
1935년 화령전 작약

a10.jpg
1935년 별장

a11.jpg
1935년 다솔사

a12.jpg
여류화가 나혜석 [1896~1948 ]